카카오톡채널
search for




 

Mechanical Changes in Foot and Function According to Types of Elastic Tapes: Focusing on Individuals with Flexible Flatfoot
Phys Ther Rehabil Sci 2024;13:423-32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4
© 2024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Shin Kima, Jun-Young Songb , Myung-Mo Leec*

a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Republic of Korea.
b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c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Myung-Mo Lee (ORCID https://orcid.org/0000-0002-5808-5815)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University 62, Daehak-ro, Dong-gu, Daejeon city Republic of Korea, 34520
Tel: +82-10-9190-1770 Fax: +82-42-280-4295 E-mail: mmlee@dju.kr
Received December 3, 2024; Revised December 13, 2024; Accepted December 16, 2024.
cc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sports tapes (Kinesio tape, Dynamic tape, and Mechano tape) on mechanical support, static/dynamic foot contact area, foot pressure, and static/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flexible flatfoot.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Nineteen participants diagnosed with flexible flatfoot were selected based on the navicular drop test. The subjec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one of the three taping interventions: Kinesio tape, Dynamic tape, or Mechano tape. The static and dynamic foot contact areas, foot pressure, and balance abilit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ross the three taping condition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tatic and dynamic foot contact area or foot pressure between the three taping conditions. In terms of static balance, Dynamic and Mechano taping condition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Kinesio taping (P<0.05),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ynamic and Mechano taping. For dynamic balance, both Dynamic and Mechano taping resulted in greater improvements than Kinesio taping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ynamic and Mechano tape condition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aping interventions using different types of elastic tapes can be beneficial for individuals with flexible flatfoot. However, Dynamic and Mechano tapes showed greater effects on balance compared to Kinesio tape.
Keywords : Foot, Postural balance, Mechanical Tests, Flatfoot
서론

발은 지면과 맞닿아 있는 유일한 분절로 관절과 결합조직 그리고 근육들의 , 상호작용을 통해 인체의 기능적인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3]. 발의 구조는 지면 반발력을 분산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굽이진 형태를 보이는데, 이를 발바닥 활(foot arch)이라 한다[4]. 이 중 안쪽 세로활(medial longitudinal arch)은 발안쪽의 발허리뼈(metartarsal)와 쐐기뼈(cuneiform), 발배뼈(navicular), 발꿈치뼈(calcaneus), 그리고 목말뼈(talus)로 이어진 구조물로, 인체의 움직임 과정에서 일어나는 충격을 분산하여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5,6]. 또한 보행단계 중 기계적인 힘을 흡수하고 저장한 힘을 방출하여 보행 주기 동안 발의 추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

편평발(flat foot)은 선천적인 기형이나 성장과정에서의 변형으로 인해 정상적인 발보다 안쪽 세로활의 높이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져 기능의 장애를 유발하는 발의 상태를 말한다[8]. 편평발은 몸 전체의 운동 사슬(kinetic chain)에 악영향을 미치며, 하지근육의 긴장을 증가시켜 근육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9,10]. 유연성 편평발(flexible flat foot)은 비 체중부하시 안쪽세로활의 높이가 유지되나, 체중부하시에는 안쪽 세로활의 높이가 무너지는 상태의 발을 의미한다[9,11]. 유연성 편평발은 체중지지시 과도한 엎침을 발생시키고 목말뼈의 엎침과 뒤꿈치뼈의 외반을 일으키며, 운동 사슬, 균형, 고유수용성 감각에 영향을 미쳐 기능적인 불안정성의 원인이 된다[5,12]. 이와 같은 변성은 발목 통증 및 족저근막염 등 다른 하지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13].

편평발의 경우 증상이 경미하거나 기능적인 제한이 심하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14,15]. 평발에 대한 다양한 비수술적인 중재방법으로는 고정을 위한 보조기 사용, 체중관리, 발바닥 활 지지를 위한 스트레칭 및 근육 강화 운동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16,17]. 일반적으로 운동을 통한 중재방법은 유연성 편평발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나, 비교적 장기간의 중재 기간을 필요로 하며 중재 후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중재 방법으로 단기간내에 효과를 낼 수 있는 테이핑 요법이 보고되고 있다[18].

스포츠테이프는 사용된 소재에 따라 비탄성 테이프(rigid tape), 또는 탄성 테이프(elastic tape)로 구분할 수 m있다[19]. 비탄성 테이프는 강한 접착력과 고정력이 있으며 테이프의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체를 고정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비탄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양한 테이핑 기법이 중재방법으로 활용되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Low-dye 테이핑 방법은 과도하게 엎침된 발의 안쪽 세로활을 보조하는 원리를 적용하여 발의 중간-안쪽(mid-medial)에 치우쳐진 압력을 중간-바깥쪽(mid-lateral)으로 분산시키는 테이핑 방법이다[20]. 이를 통해 발바닥 근막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발바닥 통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21].

탄성 테이프는 비탄성 테이프에 비해 강한 탄성반발력을 지녔으며, 강한 탄성력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근육의 활동을 보조할 수 있다[22,23]. 탄력 테이프는 소재적 특성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테이프가 고안되었다. 그 중 키네시오 테이프(kinesio tape)는 가장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테이프로써, 70년대 Kase Kenzo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혈류흐름 개선을 통한 통증과 염증 경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2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연성 편평발 환자에게 적용한 키네시오 테이핑 방법이 발바닥 압력과 근긴장도의 감소, 통증 감소, 가동범위(range of motion)의 증가, 앞정강근과 뒤정강근 활성화를 통한 동적 안정성의 증가에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24,25]. 최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탄성 테이프가 개발되어 스포츠 및 물리치료분야에 널리 소개되고 있다. 그 중 다이나믹 테이프(dynamic tape)는 강한 탄성 반발력을 지닌 소재를 사용하여 200% 이상 늘어나는 신축성과 모든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닌 테이프이다[19]. 유연성 편평발 대상자에게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 시, 보행 시 전, 후방 및 측방 변동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 보고되었다[26]. 또 다른 탄성 테이프로는 메카노 테이프(mechano tape)가 있으며, 이 테이프 역시 높은 탄성력 및 회복력이 있는 스판덱스 및 나일론 혼합소재를 사용한 테이프로 근육과 관절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테이프이다. Joo 등[27]의 연구에서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가 유연성 편평발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하였을 때, 두 테이프가 정적 서기와 보행 시 발바닥 접지면적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두 테이핑이 유사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기존 연구들은 유연성 편평발을 개선하기 위하여 테이핑 요법 적용 유무와 테이핑 적용방법에 따른 효과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소재의 테이핑이 소개됨과 동시에 이를 적용하는 방법적인 접근 뿐만 아니라 테이핑의 소재적 특성에 기인한 차이를 비교한 새로운 관점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이나믹 테이프, 메카노테이프, 키네시오 테이프를 활용한 안쪽세로활 지지 보조 테이핑이 유연성 편평발을 지닌 대상자의 정적인 자세와 보행 시 발에 가해지는 압력분포의 변화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D’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대상으로 공고를 통해 모집하였다. 연구수행에 필요한 대상자 표본 수는 G-power(ver. 3.1.9.2, University of Kiel, Kiel, Germany)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Joo 등[27]의 선행연구에서 주 효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토대로 도출한 효과크기 f=0.50, 유의수준 α=0.05, 검정력(1-β)=0.80으로 계산한 결과, 14명의 대상자가 필요하였으나, 탈락율 20%를 감안하여 19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 조건은 첫째, 우세발의 발배뼈 하강 검사(navicular drop test; NDT)에서 앉은 상태와 서있는 상태에서의 발배뼈 높이 차이가 9 mm를 초과하는 자[28,29], 둘째, 최근 6개월 이내에 하지의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수술 또는 치료 경험이 없는 자로 하였다. 제외 조건은 첫째, 발목 등 하지의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자, 둘째, 균형능력이 저하되어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자, 셋째, 테이프 접착에 대한 알러지 반응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 자로 하였다.

연구 진행에 앞서 모든 연구 참가자에게 연구의 목적, 절차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연구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불편사항, 그리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헬싱키 선언의 윤리 기준의 목적과 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단면연구 설계(cross sectional study)로 테이핑 특성에 따른 유연성 편평발의 역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가자들에게 무작위로 키네시오 테이프, 다이나믹 테이프, 메카노 테이프를 이용한 테이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 테이핑 조건에 의한 학습효과를 최소화 하기 위해 각 테이핑 기법 적용간 24시간의 세정기간(wash out period)을 제공하였다.

테이핑 조건에 따른 발의 역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 자세에서의 정적 족저압과 접지면적 그리고 보행 시 동적 족저압, 접지면적, 접지 시간을 측정 후 비 교하였으며, 기능적 변화는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 중재방법

키네시오 테이프(Kinesio Tex, Kinesio Taping Co. Ltd., Japan)는 면과 폴리우레탄 혼방 소재로 만들어졌으며, 한 방향으로만 늘어나는 신장성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다이나믹 테이프(Dynamic Tape, Port Vila, Vanuatu)는 나일론과 라이크라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날실과 씨실 방향에서 모두 늘어나는 특징이 있어 스포츠 활동 시 보조가 가능하다. 메카노테이프(Mechano tape, TR. Co, Daejeon, Republic of Korea)는 스판덱스 나일론 혼합소재를 사용하여 날실과 씨실 방향에서 모두 늘어나는 특징이 있으며, 본래 길이의 310% 이상 늘어나는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이다.

테이핑 중재 전 테이핑 부착부위의 피부 알러지 반응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 2.5×2 cm2로 자른 테이프를 발등 부위에 10분간 붙여 알러지 반응여부를 확인하였다. 테이핑 기법은 Joo[27]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Low-dye 테이핑 방법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기존 Low-dye 테이핑의 경우 보강(anchor)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여러 장의 테이프를 발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고정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강테이프를 적용하지 않고 하나의 테이프를 이어 붙이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테이핑 부착 시 발의 발바닥 굽힘과 안쪽 번짐(inversion), 엄지발가락 굽힘을 유지한 상태에서 부착하였다(Figure 1-1). 테이프는 첫번째 발허리 발가락관절에서 시작하였으며(Figure 1-2), 안쪽 발바닥 세로활을 지나 발뒤꿈치 방향으로 당기며 바깥쪽으로 부착한 뒤에(Figure 1-3, 1-4), 발뒤꿈치를 감싸며 바깥쪽으로 돌려 붙였다(Figure 1-5). 이어 발의 안쪽 번짐을 유지한 상태로 5 번째 발허리뼈 바닥을 지나가도록 부착하였으며(Figure 1-6), 발목은 발등 굽힘을 유지한 상태로 발배뼈를 지나가도록 부착하였다(Figure 1-7). 마지막으로 고정점을 발등쪽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Figure 1-8). 적용한 테이프의 길이는 부착 시 각 시작과 끝 5 cm를 지점에는 장력을 주지 않고 부착하였으며, 그 외 부분에서는 테이프 길이가 20% 늘어나도록 장력을 적용하여 부착하였다. 테이핑 중재는 스포츠 테이핑 교육을 이수한 1인의 연구자가 전담하여 부착하였다.

4. 평가방법 및 도구

발배뼈 하강 검사(navicular drop test)

NDT는 유연성 편평발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로써, 참가자는 발이 닿지 않도록 의자에 앉아 무릎을 90°로 굽힘 하여 발을 중립자세로 두었다. 이 때 발배뼈 거친면(navicular tuberosity)과 발바닥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길이와 선자세에서 발의 체중지지를 한 조건에서 측정한 길이차이가 9 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32]. NDT의 측정자 간, 측정자 내 신뢰도(ICC>0.78)는 높은 수준이다[33].

발바닥 접지 면적 및 족저압 검사

테이핑 조건에 따른 발의 세로활 보조 능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게이트뷰 시스템(Gaitview AFA-50, alFOOTS,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정적 및 동적 조건에서 발의 접지면적과 족저압을 측정하였다. 게이트뷰 시스템은 가로(550 mm) ×세로(480 mm) ×높이(35 mm) 크기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내부에 0.73 cm2 면적에 0.15 mm의 두께로 2,304(48 × 48)개의 센서가 내장되어있다. 보행 시 발바닥의 접지면적과 족저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게이트뷰 플레이트 앞과 뒤로 2 m의 가속과 감속구간을 두었으며 참가자가 우세측 발로 게이트퓨 플레이트를 밟고 지나가도록 하였다. 총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게이트뷰 소프트웨어(Gaitview Software 1.0.1, alFOOTS, Republic of Kore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게이트뷰 시스템의 측정자내 신뢰도는 0.69∼0.95, 측정자간 신뢰도는 0.84∼0.97이다[34].

정적 균형 검사

테이핑 조건에 따른 정적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위 발란스 보드(Wii balance board; WBB, Nintendo, Japan)를 사용하였으며 검사 자료는 발란시아(Balancia 2.0 ver, Mintosys,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블루투스로 연결된 장치의 모서리에 위치한 4개의 로드 셀을 통하여 압력 중심의 이동거리(path length), 이동속도(velocity), 그리고 면적(area 95%)을 측정하였다.

참가자에게 정적 균형 검사를 위해 두 가지 다른 동작을 취하도록 지시하였다[35]. 첫째, 참가자에게 양손을 교차하여 어깨를 잡고, 고개는 정면을 향하고 눈을 감은 채 우세측 발로만 한발로 지지하도록 지시하였다. 둘째, 우세측 발로만 지지하고 상태에서 지지한 발의 반대쪽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시하였다. 각 자세는 30초동안 유지하도록 실시하였으며, 두 가지 자세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WBB의 측정-재측정 타당도는 0.66∼0.94, 신뢰도는 0.77∼0.89였으며, 발란시아 프로그램의 타당도는 0.85, 신뢰도는 0.79∼0.96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36].

동적 균형 검사

테이핑 조건 별 동적균형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Y-Balance test를 시행하였다. 검사 전 참가자의 다리 길이를 계산하기 위하여 바로 누운 자세에서 위앞엉덩뼈가 시에서 안쪽 복사뼈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참가자의 우세측 발배뼈가 세 방향 교차점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쪽, 뒤-가쪽, 그리고 뒤-안쪽 방향으로 다른 다리를 최대한 뻗게 하여 cm 단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에 대해 총 3회 측정한 평균값을 도달 거리로 설정하였으며, 측정한 균형 검사 결과값은 앞쪽, 뒤-안쪽, 뒤-가쪽의 이동 거리를 합한 후 다리 길이의 3배 값으로 나눈 백분율인 종합 점수(composite score)값으로 산출하여 계산하였다. Y-Balance Test는 동적균형에 대하여 남녀집단 모두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r=0.868∼0.966)[37].

자료분석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다. 유연성 편평발에 적용한 다이나믹 테이프, 메카노 테이프, 키네시오 테이프 등 테이핑 종류를 종속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종속조건에 대한 발바닥 접지면적과 족저압, 정적·동적 균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사용하였다. 유의한 차이에 나타난 경우 이에 대한 사후검정을 위하여 Bonferroni 검정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91명의 지원자중 NDT 결과가 9 mm 이하인 63명과 정형외과 수술 이력이 있는 9명이 탈락하여 최종적으로 19명의 참가자가 선정되었다. 등록한 참가자들은 중도탈락 없이 19명 모두 실험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19명의 성별, 신장, 체중, 연령, BMI 발 크기와 같은 일반적 특성 결과는 표 1과 같다.

정적 접지면적 및 족저압 비교

정적인 조건에서 발의 접지면적과 족저압은 테이핑 종류에 따른 측정 결과는 표 2와 같다. 접지면적의 경우 키네시오 테이핑군이 다이나믹 테이핑군과 메카노 테이핑군에 비해 넓었으며, 족저압은 키네시오 테이핑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적 접지면적, 족저압 및 접촉 시간 비교

동적인 조건에서의 발의 접지면적과 족저압 및 접촉 시간 모두에서 테이핑 종류에 따른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 동적인 조건에서의 발의 접지면적, 족저압 및 접촉시간은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 균형 능력 비교

정적 균형 조건에서의 테이핑 조건에 따른 측정 결과는 표 4와 같다. 테이핑 종류에 따른 압력중심의 속도, 이동거리와 면적은 눈을 뜬 조건과 눈을 감은 조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사후검정 결과, 압력중심의 속도, 이동거리와 면적에서 모두 키네시오 테이핑 군에 비해 다이나믹 테이핑 군과 메카노 테이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나(p<0.05), 다이나믹 테이핑 군과 메카노 테이핑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적 균형

동적 균형 조건에서의 테이핑 조건에 따른 측정 결과는 표 5와 같다. 테이프 종류에 따른 Y균형 검사의 앞쪽, 뒤-안쪽, 뒤-가쪽 거리와 종합 점수(composite scor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사후검정 결과, Y 균형검사의 앞쪽, 뒤-안쪽, 뒤-가쪽 거리와 종합 점수에서 다이나믹 테이핑 군과 메카노 테이핑 조건에 비해 키네시오 테이핑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고찰

본 연구는 유연성 편평발을 지닌 성인의 발바닥 활을 지지하기 위해 적용한 테이프의 소재적 특성이 발의 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다이나믹 테이프, 메카노 테이프, 키네시오 테이프를 활용한 테이핑 요법은 발의 접지면적과 족저압 그리고 발의 지면 접촉 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능력에서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 적용이 키네시오 테이프 적용조건보다 유의한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편평발은 정상적인 신체의 하중 전달을 저해하고 자세의 변형을 일으켜 통증을 일으키고 균형과 보행능력을 저하시킨다[38]. 유연성 편평발의 증상 완화를 위한 중재로는 기능성 신발, 보조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유연성 편평발에 다양한 중재 방법의 효과를 비교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를 통해 테이핑 중재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된바 있다[39]. 발의 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테이핑 방법으로는 Low-dye taping, Augmented Low-dye taping, Navicular sling 등 다양한 중재법들이 제시되어왔다[18]. 이 중 아치 지지 테이핑 방법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Low-dye 테이핑 방법은 Ralph Dye에 의해 고안된 테이핑으로, 비탄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발목 아래에 발목의 엎침을 억제하여 목말밑관절(subtalar joint)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엎침을 조절하고 발바닥활을 지지하는 방법이다[20,40]. 일반적인 Low-dye 테이핑 방법은 다섯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에 부착하여 뒤꿈치를 거쳐 첫번째 발허리관절까지 부착하는 보강(anchor)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여러 장의 테이프를 발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고정하여 부착한다. 본 연구에서는 Low-dye 테이핑시 발바닥에 붙이는 고정 테이프가 동적인 움직임에서의 족저압 측정에 방해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테이프조직의 강한 탄성저항력이 가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고정용 테이프를 적용하지 않았다. 대신 기존에 사용하던 Low-dye 테이핑 방법을 변형하여 발바닥으로 여러 장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대신 한 장의 테이프로 발 뒤꿈치를 이어 붙인 뒤 발 안쪽에서 바깥 쪽 방향으로 테이프를 이어서 붙이는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Joo 등[27]의 연구에서 유연성 편평발 환자의 정적 및 동적 상황에서 발바닥 접지면적을 비교하였을 때, 테이핑 적용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들의 연구는 맨발과 비교하여 테이핑 중재방법이 유연성 편평발 환자의 족저압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아쉽게도 본 연구에서는 맨발의 조건이 제시되지 않아 세가지 탄력테이프 조건과 비교가 어려웠으며, 또한 세 가지 탄력테이프 조건 간 정적 및 동적 접지면적, 접지시간 및 압력변화에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테이핑의 적용이 발의 역학적 변화에 아무런 효과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단정하긴 어렵다[41].

편평발이 있는 대상에게 적절한 스포츠 테이프의 적용은 족저압을 감소시켜 아치를 지지할 수 있다[42].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스포츠테이프를 사용하여 발의 정적 및 동적 족저압을 비교하였으나, 그 결과 세 조건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Wang 등[43]의 연구에서 뒤정강근육(posterior shin muscle)들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 넙다리뼈의 가쪽위관절융기까지 테이프를 부착하였을 때, 족저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테이핑 방법의 경우 발 아치높이에 초점을 맞추어 뒤정강근육에 집중적인 테이프 보조를 하지 않았기에 족저압 감소에 충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WBB를 사용하여 압력중심의 이동속도, 거리, 면적을 측정하여 테이프 조건 간 정적 균형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테이프 조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Joo 등[27]의 연구에서 정적 균형능력 측정 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균형 장애를 보상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정적 균형능력 측정 시 눈을 감거나 머리를 돌리는 자세를 취하여 시각적, 전정적 교란을 제공하였고, 이로 인해 테이핑의 효과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사료된다.

테이핑 조건 별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수행한 Y-Balance test 결과 각 조건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Guilherme S Nunes 등[44]의 연구에서는 키네시오 테이핑이 발목의 안정성이나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지 않은 중재 방법이라고 보고하였으며, Lim 등[26]의 연구에서는 동적 균형 검사에서 다이나믹 테이프가 키네시오 테이프나 테이프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가 키네시오 테이프에 비해 강한 탄성반발력으로 인해 관절 움직임을 적절히 제한하며 동적 균형 동안 발목을 더 많이 지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균형은 시각과 전정계통 그리고 피부 수용기를 통한 촉각과 같은 체성감각정보에 의존하며 특히 발과 발목의 고유수용성 감각은 균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45,46]. Yazici 등[47]의 연구에 따르면 테이핑 요법이 대상자의 체성감각을 자극하여 균형 능력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키네시오 테이프의 경우 장축 방향으로의 신축성만 존재하는 반면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는 모든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가 키네시오 테이프에 비해 더 강한 탄성반발력으로 피부 수용기 감각을 자극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차이가 균형을 잡는 과정에 있어 대상자의 체성감각을 더 많이 자극하여 균형 감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키네시오 테이프 이후 탄력적인 소재의 특성을 지닌 다양한 테이프들이 임상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각 테이프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어야 할 조건과 질환이 다를 수도 있지만 보다 적합한 소재의 탄성테이프를 적소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재의 차이에 기인한 세가지 탄력테이프의 효과를 비교한 첫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대상자의 학습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실험 간격을 설정하였으나 학습효과를 완전히 배제하기에 충분하지 못했다. 둘째, 유연성 편평발이 있는 20대 건강한 성인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다른 연령대에 일반화하여 해석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대상자의 여성 비율이 높아 모든 성별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셋째,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테이프 효과 유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불가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발바닥 활의 지지 목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경근골격계 질환대상자의 기능회복이나 손상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소재의 다양성에 기인한 테이핑 효과 연구가 수행되길 제안한다.

결론

본 연구는 유연성 편평발이 있는 20대 젊은 성인에게 세 가지 종류의 탄력 테이프가 정적 및 동적 족저압, 접지면적과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연성 편평발인 대상자의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서 키네시오 테이프에 대해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이나믹 테이프와 메카노 테이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에 따라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유연성 편평발 환자의 테이핑 요법 중재 시 다양한 탄력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4학년도 대전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이해충돌

본 연구의 저자들은 연구, 저작권 및 출판과 관련하여 잠재적인 이해충돌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Figures
Fig. 1. Taping method for the foot arch using elastic tape
Fig. 2.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of the foot using a Gateviewsystem
Fig. 3. Measurement of static balance ability using a Wii balance board
Fig. 4. Dynamic balance assessment using the Y-balance test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9)

Variables Mean ± SDa
Gender (Male/Female) 5/14
Age 21.50±1.82a
Height (cm) 166.35±6.67
Weight (kg) 61.95±11.21
Body mass index (kg/m2) 22.29±3.21
Foot length (mm) 248.50±13.58

aMean ± Standard deviation


Table 2

Comparison of static plantar pressure according taping conditions. (N=19)

Kinesio-taping Dynamic-taping Mechano-taping F p
Foot contact area (cm2) 85.97±20.23a 84.86±22.67 85.58±21.51 0.013 0.987
Foot pressure (Kgf) 91.68±15.32 92.11±17.79 92.12±15.55 0.004 0.996

aMean ± Standard deviation


Table 3

Comparison of dynamic plantar pressure according taping conditions. (N=19)

Kinesio-taping Dynamic-taping Mechano-taping F p
Foot contact area (cm2) 113.11±19.28a 108.69±17.26 109.72±17.14 0.935 0.395
Foot pressure (Kgf) 113.11±19.28 110.55±18.13 115.07±22.37 0.721 0.488
Contact time (sec) 1.01 ± 0.16 1.02 ± 0.15 1.01 ± 0.13 0.067 0.935

aMean ± Standard deviation


Table 4

Comparison of static balance according taping conditions. (N=19)

Kinesio-taping Dynamic-taping Mechano-taping F p
Single leg with eye closed
CoP velocity (cm/s) 8.80±2.01a 7.18±1.51 7.32±2.02 8.333 0.000
CoP path length (cm) 263.89±60.15 215.42±45.17 219.61±60.73 8.377 0.000
CoP area 95% (cm2) 21.91 ±8.40 15.08 ±6.11 14.30 ±5.15 14.103 0.000
Single leg with eye closed
CoP velocity (cm/s) 6.61±1.47a 5.66±1.20 5.83±1.40 5.007 0.008
CoP path length (cm) 198.39±44.02 169.82±36.01 174.82±42.13 5.018 0.008
CoP area 95% (cm2) 11.68 ±5.15 8.16 ± 3.11 8.27 ± 3.35 9.125 0.000

aMean ± Standard deviation, CoP: Center of pressur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Kinesio-taping, p<0.05


Table 5

Comparison of dynamic balance according taping conditions. (N=19)

Kinesio-taping Dynamic-taping Mechano-taping F p
Anterior (cm) 69.96±6.40a 73.17±5.35 73.34±7.66 4.767 0.010
Post-medial (cm) 69.71±10.08 74.85±9.08 78.58±9.23 12.362 0.000
Post-lateral (cm) 78.07±8.75 81.55±10.87 92.71±7.70 7.250 0.001
YBT composite score (%)b 85.30±7.44 89.73±7.56 92.71±7.70 13.594 0.000

aMean ± Standard deviation, YBT: Y Balance Test

bY-balance test composite score: (Anterior+Post-medial+Post-lateral)/3timesLowerlimblength*100

Significant difference from Kinesio-taping, p<0.05


References
  1. Flores DV, Mejía Gómez C, Fernández Hernando M, Davis MA, Pathria MN. Adult acquired flatfoot deformity: anatomy, biomechanics, staging, and imaging findings. Radiographics. 2019;39(5):1437-60.
    Pubmed CrossRef
  2. Perry J, Burnfield JM.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 California: Slack. 2010.
    CrossRef
  3. Guenka LC, Carrasco AC, Pelegrinelli AR, Silva MF, Dela Bela LF, Moura FA, et al. Influence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of the foot in adult women in ankle isokinetic performance: a cross-sectional study. J Foot Ankle Res. 2021;14(1):43.
    Pubmed KoreaMed CrossRef
  4. Houglum PA, Bertoti DB.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FA Davis; 2011.
    CrossRef
  5. Neumann D. 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3rd ed.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CrossRef
  6. Moore KL, Dalley AF.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olters kluwer india Pvt Ltd; 2018.
    CrossRef
  7. Karimi MT, Fereshtehnejad N, Pool F. The Impact of Foot Insole on the Energy Consumption of Flat-Footed Individuals During Walking. Foot Ankle Spec. 2013;6(1):21-26.
    Pubmed CrossRef
  8. Lee MS, Vanore JV, Thomas JL, Catanzariti AR, Kogler G, Kravitz SR,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ult flatfoot. J Foot Ankle Surg. 2005;44(2):78-113.
    Pubmed CrossRef
  9. Harris EJ, Vanore JV, Thomas JL, Kravitz SR, Mendelson SA, Mendicino RW,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diatric flatfoot. J Foot Ankle Surg. 2004;43(6):341-373.
    Pubmed CrossRef
  10. Chou MC, Huang JY, Hung YM, Perng WT, Chang R, Wei JCC. Flat foot and spinal degeneration: Evidence from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J Formos Med Assoc. 2021;120(10):1897-1906.
    Pubmed CrossRef
  11. Taha AMS, Feldman DS. Painful flexible flatfoot. Foot Ankle Clin. 2015;20(4):693-704.
    Pubmed CrossRef
  12. Ozyalvac ON, Aydin CG, Akpinar E, Bayhan AI, Yildirim T. Isokinetic Analysis of Flexible Flatfoot: Is It a Weakness of Proprioception and Muscle Strength?. J Am Podiatr Med Assoc. 2022;112.
    Pubmed CrossRef
  13. Kosashvili Y, Fridman T, Backstein D, Safir O, Ziv YB. The correlation between pes planus and anterior knee or intermittent low back pain. Foot Ankle Int. 2008;29(9):910-913.
    Pubmed CrossRef
  14. Alvarez RG, Marini A, Schmitt C, Saltzman CL. Stage I and II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treated by a structured nonoperative management protocol: an orthosis and exercise program. Foot Ankle Int. 2006;27(1):2-8.
    Pubmed CrossRef
  15. Kim SJ, Lee BG, Sung IH. Adult flatfoot. J Korean Med Assoc. 2014;57(3):243-252.
    CrossRef
  16. Halabchi F, Mazaheri R, Mirshahi M, Abbasian L. Pediatric flexible flatfoot; clinical aspects and algorithmic approach. Iran J Pediatr. 2013;23(3):247.
  17. Herchenröder M., Wilfling D., Steinhäuser J. Evidence for foot orthoses for adults with flatfoot: a systematic review. J Foot Ankle Res. 2021;14:1-11.
    Pubmed KoreaMed CrossRef
  18. Tang M, Wang L, You Y, Li J, Hu X. Effects of taping techniques on arch deformation in adults with pes planus: A meta-analysis. PloS one. 2021;16(7):e0253567.
    Pubmed KoreaMed CrossRef
  19. McNeill W, Pedersen C. Dynamic tape. Is it all about controlling load?. J Bodyw Mov Ther. 2016;20(1):179-188.
    Pubmed CrossRef
  20. Lange B, Chipchase L, Evans A. The effect of low-Dye taping on plantar pressures, during gait, in subjects with navicular drop exceeding 10 mm.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4;34(4):201-209.
    Pubmed CrossRef
  21. Franettovich MM, Murley GS, David BS, Bird AR. A comparison of augmented low-Dye taping and ankle brac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walking in adults with flat-arched foot posture. J Sci Med Sport. 2012;15(1):8-13.
    Pubmed CrossRef
  22. Halseth T, McChesney JW, DeBeliso M, Vaughn R, Lien J. The effects of kinesio ™ taping on proprioception at the ankle. J Sport Sci Med. 2004;3(1):1.
  23. Huang C-Y, Hsieh T-H, Lu S-C, Su F-C. Effect of the Kinesio tape to muscle activity and vertical jump performance in healthy inactive people. Biomed Eng Online. 2011;10:1-11.
    Pubmed KoreaMed CrossRef
  24. Mostafavifar M, Wertz J, Borchers J.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for musculoskeletal injury. Phys Sportsmed. 2012;40(4):33-40.
    Pubmed CrossRef
  25. Karthikeyan J, Singh K, Govind S, Mahalingam K, Vamsi 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aping and arch support on the flexible flat foot on a random population. Indian J Forensic Med Toxicol. 2020;14(4):7825-7832.
    CrossRef
  26. Lim OB, Park SY.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arefoot, kinesio tape, and dynamic tap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subjects with asymptomatic flexible. Phys Ther Korea. 2020;27(1):78-86.
    CrossRef
  27. Joo H-S, Park S-H, Lee M-M. The Comparision of the Static Balance, Contact Area, and Plantar Pressure of Flexible Flat Foot According to Elastic Taping. Phys Ther Rehabil Sci. 2022;11(4):421-429.
    CrossRef
  28. Cote KP, Brunet ME, Gansneder BM, Shultz SJ. Effects of pronated and supinated foot postures on static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J Athl Train. 2005;40(1):41.
    Pubmed KoreaMed
  29. Loudon JK, Jenkins W, Loudon KL.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c posture and ACL injury in female athlete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4(2):91-97.
    Pubmed CrossRef
  30. Kase K, Wallis J, Kase T. Clinic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Kinesio Taping Method. Albuquerque. New Mexico: Kinesio; 2003.
    CrossRef
  31. Tunakova V, Tunak M, Mullerova J, Kolinova M, Bittner V. Material, structure, chosen mechanical and comfort properties of kinesiology tape. J Text Inst. 2017;108(12):2132-2146.
    CrossRef
  32. Langley B, Cramp M, Morrison SC. Clinical measures of static foot posture do not agree. J Foot Ankle Res. 2016;9:1-6.
    Pubmed KoreaMed CrossRef
  33. Vauhnik R, Turk Z, Pilih IA, Mičetić-Turk D. Intrarater reliability of using the navicular drop test for measuring foot pronation. Hrvatski šortskomedicinski vjesnik. 2006;21(1):8-11.
  34. Kim YT, Lee JS. Normal pressures and reliability of the Gaitview® system in healthy adults. Prosthet Orthot Int. 2012;36(2):159-164.
    Pubmed CrossRef
  35. Son SM, Kang KW, Lee NK, Nam SH, Kwon JW, Kim K. Influence of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unilateral ankle on ipsilateral one-legged standing balance of adults. J Phys Ther Sci. 2013;25(10):1313-1315.
    Pubmed KoreaMed CrossRef
  36. Lim JY, Yi Y, Jung SW, Park D-S. Comparison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 between female elderly and young adults during sit-to-stand and gait using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Phys Ther Rehabil Sci. 2018;7(4):179-185.
    CrossRef
  37. López-Plaza D, Juan-Recio C, Barbado D, Ruiz-Pérez I, Vera-Garcia FJ. Reliability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wo new similar protocols to measure trunk postural control. PM&R. 2018;10(12):1344-1352.
    Pubmed CrossRef
  38. Pita-Fernandez S, Gonzalez-Martin C, Alonso-Tajes F, Seoane-Pillado T, Pertega-Diaz S, Perez-Garcia S, et al. Flat foot in a random population and its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ity. J Clin Diagn Res. 2017;11(4):LC22.
    CrossRef
  39. Cheung RT, Chung RC, Ng GY. Efficacies of different external controls for excessive foot pronation: a meta-analysis. Br J Sports Med. 2011;45(9):743-751.
    Pubmed CrossRef
  40. Radford J. A., Burns J., Buchbinder R., Landorf K. B., Cook C. The effect of low-dye taping on kinematic, kinetic, and electromyographic variables: a systematic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4):232-241.
    Pubmed CrossRef
  41. Ünver B, Bek N. Effects of different external supports on plantar pressure-time integral and contact area in flexible flatfoot. J Am Podiatr Med Assoc. 2021;111.
    Pubmed CrossRef
  42. Esen DH, Kafa N, Özyilmaz UU, Güzel NA. The effect of medial longitudinal arch supporting dynamic ® tape application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in adolescent volleyball players. Kinesiol. Slov. 2022;28(3):30-42.
    CrossRef
  43. Wang J-S, Um G-M, Choi J-H. Immediate effects of kinematic taping on lower extremity muscle tone and stiffness in flexible flat feet. J Phys Ther Sci. 2016;28(4):1339-1342.
    Pubmed KoreaMed CrossRef
  44. Nunes GS, Feldkircher JM, Tessarin BM, Bender PU, da Luz CM, de Noronha M. Kinesio taping does not improve ankle functional or performance in people with or without ankle injur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Rehabil. 2021;35(2):182-199.
    Pubmed CrossRef
  45. Park JH, Benson RF, Morgan KD, Matharu R, Block HJ. Balance effects of tactile stimulation at the foot. Hum Mov Sci. 2023;87:103024.
    Pubmed CrossRef
  46. Han J, Anson J, Waddington G, Adams R, Liu Y. The role of ankle proprioception for balance control in relation to sports performance and injury. Biomed Res Int. 2015;2015.
    Pubmed KoreaMed CrossRef
  47. Yazici G, Guclu-Gunduz A, Bayraktar D, Aksoy S, Nazliel B, Kilinc M, et al. Does correcting position and increasing sensorial input of the foot and ankle with Kinesio Taping improve balance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2015;36(3):345-353.
    Pubmed CrossRef

 

Full Text(PDF) Fre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Funding Information
  • Authorship and ethical issues